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62)
[Swift Unit Test] "오운완" 효과적인 테스트를 위한 고민(코드 재사용) 최근 고민했던 내용들을 본격적으로 얘기하기 전에 MVVM패턴과 MVC패턴의 차이에 대한 고민으로부터 시작되었다. 현재 나는 MVC패턴과 MVVM패턴으로 진행중인 프로젝트가 1개씩있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차이에 대해서 고민하게 되었다. MVC패턴은 Model + View + Controller 구조이다. 결과적으로 뷰를 보여주고 관리하기 위한 로직들이 모두 ViewController 안에 있다. MVVM패턴은 Model + View + ViewModel 구조이다. MVC 패턴과의 차이에 대해선 이제 ViewModel이라는 계층을 하나 더 만들어서 로직을 따로 관리한다는 것이다. 그러면 굳이 왜 ViewModel을 따로 만들고자 했을까? 보통 MVC 패턴에서 ViewController가 비즈니스 로직 말고도..
[Swift error handling] "스파클" 예상 못한 에러는 어떻게 처리해줘야 할까? "스파클" 앱을 리펙토링하는 과정에 있다..! 2주간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마지막에 해결되지 않은 이슈가 있다. 바로 "커플 연결에 혼선이 있으면 API 호출을 통해 받아오는 커플 정보를 정확히 받을 수 없다." 는 것이다. 문제 상황 API 호출 전 indicator 실행 -> API 호출 -> 성공 시 indicator 그만 인 흐름에서 성공하지 못했기 때문에 indicator가 무한으로 도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사실 나는 그 전까지 "물론 에러 핸들링 중요하지만! 그 전에 이러한 에러가 나지 않아야 한다"라고 생각해서 에러 처리를 굳이 만들지 않았었다. 그치만 이러한 현상을 겪으면 다시는 앱을 사용하지 않게 될 것 같다라는 생각에 우선 서버의 상태와는 별거로 iOS 앱에서 에러 핸들링을 해보고..
"스파클" 프로젝트 회고(SOPT iOS 32기) 마지막 대학 생활 동안 정말 해보고 싶었던 SOPT 활동이 끝났다. iOS 파트에 들어오고 같은 파트 사람들은 정말 잘하는 사람부터 처음 개발 공부를 하기 시작하는 사람까지 다양하게 있었다. 그리고 느낀 것은 "정말 하기 나름"이라고 생각이 들었다. 정말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동아리 활동을 시작해서 질문하는 것에 거부감이 없고 항상 노력하는 친구는 마지막이 되어서 누가봐도 정말 많이 성장해 있었다. 그런 친구들을 보면서 나 역시 많은 동기부여를 얻었고 함께 공부하면서 많이 배울 수 있었던 것 같다. 주차 별 세미나가 끝나면 기획, 디자인, 서버, 클라이언트 개발자가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SOPT에서 최종으로 진행하는 프로젝트는 '앱잼'이라고 한다. 나는 '앱잼' 동안 "스파클"이라는 앱을 만들었..
"오운완" 앱에 SwiftLint 적용시켜보기 3월부터 7월말까지 진행했던 오운완 프로젝트가 1.0 버전으로 앱스토어에 출시되었다! 이제 만든 앱을 하나씩 수정하면서 더 나은 코드를 고민하고 완성도 높은 앱으로 만들기 위해서 고민하고자 한다. 첫 번째로 적용시킬 것이 바로 "SwiftLint"이다. 왜 SwiftLint를 사용하게 되었나? 물론 처음부터 swiftLint를 사용하려고 했던 것은 아니다. 1명의 다른 iOS 개발자와 함께 코딩 컨벤션을 만들고 그렇게 개발을 진행해왔다. 시간이 지나고 더욱 빠르게 작업을 하기 위해서 서로의 코드를 볼 시간이 없어지고 나 스스로도 개발을 빠르게 하기 위해서 내가 쓴 코드에 대해서 자기 검토도 잘 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swiftLint의 도움을 받아서라도 우리들의 규칙을 더 확고히 지키려고 했던 ..
"오운완" 프로젝트 회고 오랜만에 글을 쓰는 것 같다! 그 동안 프로젝트, 동아리, 학업에 치여서 글을 전혀 쓰지 못했다. 그래도 이제 곧 8월이 되는 시점에 나는 1. check it 앱 출시 2. SOPT 32기 iOS 3. 4-2 막 학기 4. 오운완 앱 출시(심사중) 5. 스파클 앱 개발(진행중) 등등 정말 쉬지 않고 달려왔던 것 같다. 그 중에서 오늘은 내가 처음으로 직업 기획하고 개발한 앱인 "오운완"에 대해서 회고를 진행해보려고 한다. 우선 "오운완" 앱은 내가 헬스를 하면서 필요하다고 생각했던 기능들을 한 앱에서 해결하고자 만든 앱이었다. 주요 기능은 1. 오운완 사진 촬영 및 모아보기 기능 2. 몸무게, 골격근량, 체지방량 입력 및 차트로 확인 3. 운동 루틴 만들기 및 루틴 기록 크게는 이렇게 3가지 기능이 있..
19명의 iOS개발자와 8일간 진행한 프로젝트 문제 해결 저번 글에선 해당 프로젝트에 대한 전반적인 회고글을 작성해봤다면 이번에는 프로젝트를 하면서 겪었던 문제들과 해결 과정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1. 로그인 상황을 코드로 봐서 명확하게 알지 못하겠다. (enum 열거형) 이번 프로젝트에서 맡게된 기능 중 하나인 로그인 기능에 대해서 질문이 들어왔다. "여기 로그인 viewModel에서 에러 처리를 어떻게 하고 있나요?" 이러한 질문을 받기 전에는 그저 '내가 작성하는 코드니까, 내가 이해하면 괜찮아'라는 생각으로 최대한 빠르게 코드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선택했다. 그러다보니 상대방이 내 코드를 궁금해했을 떄, 명확하게 알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우선 기존 코드를 보면 다음과 같다. //view viewModel.loginUser(email: email,..
19명의 iOS개발자와 8일간 진행한 프로젝트 회고 멋쟁이 사자처럼에서 벌써 앱스쿨을 진행한지 3개월이 넘어간다. 시간이 정말 빨리 지나가는 느낌이고 실력도 많이 늘었다.(나 뺴고 다들 잘하는 느낌) 이번 프로젝트는 12월 26일부터 1월 4일까지 약 8일간 진행됐다. 그리고 이번 프로젝트가 특별한 점은 무려 우리팀에 iOS 개발자가 19명이나 있었다는 것이다. 어떤 방식으로 협업을 진행했나? 프로젝트 전체를 관리해주시는 분을 기준으로 어떤 앱을 만들지 정하였고 소비자앱과 관리자앱으로 팀을 나눠 진행을 했다. 소비자앱과 관리자앱도 1분씩 관리해주시는 분이 계셨다. "파이어베이스"를 이용해 멋사만의 세미나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소비자, 관리자 앱 2개를 기획했다. "소비자앱"에서는 세미나를 조회(카테고리 분류, 날짜 분류 등)하고 신청, 신청한 세미나에 대해..
DeviceKit 이용해서 기기별 레이아웃 적용 최근 프로젝트를 구상하면서 카메라 화면을 구성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런데 카메라는 비율을 보통 4:3 , 16: 9 이렇게 고정된 값으로 많이들 사용하기 때문에 아이폰 기기별 UI의 차이가 컸습니다.. 때문에 이것을 오토레이아웃으로 구현할지, 기기별로 따로 UI를 만들지 고민하다가 이번에 기기별로 따로 대응을 해보고자 했습니다! 그래서 어떻게 해볼 수 있을까 고민을 하다가 좀 더 쉽게 접근을 해보고자 DeviceKit을 사용해봤습니다! https://github.com/devicekit/DeviceKit GitHub - devicekit/DeviceKit: DeviceKit is a value-type replacement of UIDevice. DeviceKit is a value-type..

반응형